문헌과 담론으로 본 한국 음주 문화의 다양한 얼굴
술은 오랜 시간 인류의 삶과 함께하며 각 시대의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해 왔습니다. 한국의 음주 문화 역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해 왔는데요. 과거의 문헌 기록과 오늘날의 사회적 논의를 살펴보면, 음주 문화를 바라보는 시선과 그 핵심 관심사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 문헌에 나타난 음주 문화: 의례, 유희, 그리고 인격
역사 속에서 술은 단순한 기호품을 넘어 사회, 의례, 그리고 개인의 내면과 깊이 연결된 요소로 나타납니다.
- 의례와 절제: 술은 신과 인간을 잇는 매개체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술을 마실 때는 조화와 절제, 즉 ‘례(禮)’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음주의 순서나 연장자에 대한 예절이 강조되었으며, 지나친 음주는 예의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술을 마시는 양에 정해진 기준은 없었으나, 정신이 흐트러지지 않는 선에서 절도를 지켜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술은 또한 정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국왕이 신하에게 술을 하사하는 것이 통치 행위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 유희와 벌주: 술자리의 분위기를 돋우는 주령(酒令) 문화도 있었습니다. 주령은 처음에는 술자리에서 실수를 방지하고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으나, 후대로 가면서 유희적 기능이 강화되고 술을 권하는 의미가 더해지며 과음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주연에 늦게 온 사람에게 벌주 세 잔을 마시게 하는 풍속도 있었습니다. 주령은 가무(歌舞)나 문학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으며, 술자리에서 기녀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 내면과 사회적 지위의 상징: 조선 초기 양반들 사이에서는 술 마시는 양이 개인의 내면적 크기나 강건함(强健함)을 상징하는 기호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술을 마시고도 흐트러지지 않고 뛰어난 모습을 보이는 것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했으나, 이는 양반 계층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시각이었습니다. 반대로 천민의 과음은 어리석음이나 비웃음의 대상으로 그려지기도 했습니다.
- 시대에 따른 인식 변화: 조선 초기에는 ‘얼마나’ 마시는가에 초점이 맞춰지기도 했으나, 조선 중기 이후에는 음주의 ‘양’보다는 술을 마시는 ‘방식’이나 ‘절제’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지나친 음주(호음)에 대한 평가도 시대에 따라 달라졌습니다. 이는 유교적 가치인 ‘중'(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적당함을 지키는 것)의 원리가 내면화되면서 음주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종류의 술: 조선시대에는 청주(淸酒)와 탁주(濁酒)가 대표적이었으며, 소주(燒酒)는 제조 비용 때문에 고급 술로 인식되었습니다. 탁주는 백성들이 주로 마시던 대중적인 술이었고, 때로는 금주령 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했습니다. 탁주는 노동과 관련된 술로 인식되거나, 삶의 고난 속에서 위안을 주는 매개체로 시문학에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 금주령과 통제: 조선시대에는 금주령이 자주 내려졌지만, 실효성이 떨어지고 신분이나 부의 차이에 따라 적용에 차이가 있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근대적 법체제인 경찰범처벌규칙을 통해 만취나 미성년자 음주 행위를 규제하며 음주가 공적 처벌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는 음주 행위가 개인의 윤리적 영역을 넘어 사회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현대 사회 담론에 나타난 음주 문화: 문제점과 변화하는 트렌드
미디어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본 현대 사회의 음주 문화 담론은 과거와는 또 다른 측면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문제점 및 개선 논의: 대학가 등에서 벌어지는 일부 잘못된 음주 문화, 특히 선후배 사이에서의 음주 강요(일명 ‘사발식’ 등)가 문제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사회 전반의 답습, 입시 체제의 억압, 군대 문화의 영향 등과 연관 지어 설명되기도 했습니다. 음주 강요 행위는 법적으로 처벌될 수 있으며, 사회 전반의 술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최근 젊은 세대(MZ세대)를 중심으로 술을 소비하는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담론이 부각됩니다. 단순히 많이 마시기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술(위스키, 전통주 등)을 접하고 맛과 향을 즐기려는 경향이 나타나며, 개인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술을 즐기는 문화(온더락, 하이볼, 테이스팅 등)가 존중받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새로운 주류 개발이나 음주 환경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시선의 차이점
역사적 문헌들은 음주를 사회 공동체의 의례, 개인의 인격 형성, 혹은 유희의 맥락에서 다층적으로 바라보며 그 상징성과 규범을 기록한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현대 사회의 담론(주어진 자료에 한정하여)은 특정 집단의 문제적인 음주 관행을 비판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소비 방식의 변화와 개인의 다양성 존중에 주목하며 미래의 음주 문화 방향을 논의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마무리하며
역사적 기록과 현대의 논의를 통해 볼 때, 음주 문화는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각 시대의 사회 구조, 가치관, 기술 발전, 규제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변화해 왔습니다. 과거의 의례와 절제, 그리고 유희 문화부터 현대의 문제점 인식과 개인 취향 존중의 흐름까지, 음주 문화는 우리 사회의 얼굴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 더욱 건강하고 성숙한 음주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데 중요한 바탕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 金仁淑. (2005). 酒令을 통해 본 唐代 음주문화. 중국고중세사연구, 13, 189-219.
- 김준혁. (2014). 조선시대 선비들의 탁주(濁酒) 이해와 음주문화. 역사민속학,(46), 131-158.
- 김영미 (2020) 일제강점기 풍속통제와 음주문화 재편. 역사민속학, 59 , 8-34
- [뉴스현장] 빗나간 대학가 음주문화…방안은?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영상 스크립트)
- [월간부산] MZ세대, 술판이 바뀐다 | KBS 220628 방송 (KBS부산 유튜브 채널 영상 스크립트)
- [한국사 탐(探)] – 전통술 문화, 선조들의 슬기를 담다 / YTN DMB (YTN dmb 유튜브 채널 영상 스크립트)
- 김명자. (2024). 『溪巖日錄(1603~1641)』을 통해 본 술의 종류와 음주 양상. 역사교육논집, 87, 139-173.
- 김활란. (2023). 고대 로마의 음주 문화 연구 -제정 시기 종교 축제를 중심으로-. 서양사론,(156), 9-41.
- 박상철. (2021). 제1차 세계대전 시기 러시아 도시의 음주문화. 서양사연구,(64), 223-262.
- 류정월 (2010)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동방학, 19, 335-364
- 정환규 (2021) 포도주를 통해 바라본 암브로시우스의 음주론 : 사회교리 저서를 중심으로 , 서양중세사연구, 47, 1-38
- 박상철. (2023). 혁명기 러시아의 음주문화와 만취폭동. 역사학연구, 92, 269-305.
- 💀 소주는 원래 고오오오급 술이었다? / 💀 ‘여울’과 함께 알아보는 소주의 역사 (지식해적단 유튜브 채널 영상 스크립트)
- 💀 한국 맥주 🇰🇷 폼 미쳤다… / 💀 feat. 오비맥주 ‘한맥’과 함께 알아본 대한민국 맥주의 역사 (지식해적단 유튜브 채널 영상 스크립트)